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로고

[획기적인 치료법: 조작된 T 세포가 자가면역 뇌염을 표적으로 삼음] CAAR T 세포는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한 T 세포를 유전자 변형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특수 세포는 건강한 면역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해한 항-NMDAR 자가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표적으로 삼는다.

박민제 | 기사입력 2023/11/15 [09:03]

[획기적인 치료법: 조작된 T 세포가 자가면역 뇌염을 표적으로 삼음] CAAR T 세포는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한 T 세포를 유전자 변형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특수 세포는 건강한 면역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해한 항-NMDAR 자가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표적으로 삼는다.

박민제 | 입력 : 2023/11/15 [09:03]

 

획기적인 치료법: 조작된 T 세포가 자가면역 뇌염을 표적으로 삼음

 

 
 

독일 신경퇴행성 질환 센터(DZNE)와 베를린 샤리테 대학 병원의 연구원들은 신체 자체의 항체가 뇌를 공격하는 질환인 자가면역 뇌염 치료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 연구팀은 가장 널리 퍼진 자가면역 뇌염인 NMDAR 뇌염을 치료하기 위한 정확하고 표적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하는 키메라 자가항체 수용체(CAAR) T 세포로 알려진 특수 T 세포를 개발했다.

자가면역뇌염의 이해

자가면역 뇌염은 신체의 항체가 혈액뇌관문을 뚫고 염증을 일으키고 기억 상실, 발작, 의식 장애, 정신병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때 발생한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종양, 코로나19를 포함한 바이러스 감염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치료법에는 전체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면역요법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 특히 암 환자에게 어려움을 안겨준다.

CAAR T 세포를 이용한 정밀 치료

“키메라 자가항체 수용체 T 세포는 NMDA 수용체 특이적 B 세포를 고갈시킨다”라는 제목의 전임상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항NMDAR 자가항체가 NMDAR 수용체의 적절한 기능을 방해하는 NMDAR 뇌염에 초점을 맞췄다. CAAR T 세포는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한 T 세포를 유전자 변형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특수 세포는 건강한 면역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유해한 항-NMDAR 자가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정확하게 식별하고 표적으로 삼는다.

향후 임상 시험 및 잠재적 영향

연구진은 인간을 대상으로 치료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상 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처음에는 각 NMDAR 뇌염 환자에게 특정한 표적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지만 향후 기성 치료법 개발에 대해서는 낙관론을 표명했다. 이 접근법은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널리 적용 가능한 세포 치료법의 가능성을 열어 자가면역 뇌염 치료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작성자: Impact Lab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AI바이오제약 수명연장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