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보로봇을 제작하는 서큘러스박종건대표와 (사)유엔미래포럼 박영숙대표가 로봇 아인슈타인과의 협력을 다짐하는 MOU를 맺었다. 이 공동협력서는 2022년 10월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2 로보월드 행사에 참여한 서큘러스 부쓰에서 이루어졌다.
파이보로봇을 제작하는 서큘러스박종건대표와 (사)유엔미래포럼 박영숙대표가 로봇 아인슈타인과의 협력을 다짐하는 MOU를 맺었다. 이 업무협약식은 2022년 10월 2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2 로보월드 행사에 참여한 서큘러스 부쓰에서 이루어졌다. 앞으로 소피아, 그레이스, 아인슈타인등 50여종의 로봇을 생산하는 핸슨로보틱스, 어웨이크닝헬쓰 등과 서큘러스의 협력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파이보 로봇 - AI로봇을 통해 아이들의 교육부터 어르신의 마음관리 까지
로봇과 함께할 세대를 위한 로봇AI 교육 2020 Best Of CES 로봇분야 Finalist 로 선정된 국내 로봇 파이보
파이보(pibo)는 개인 서비스 목적의 소셜 로봇으로, 국내의 기업 서큘러스에서 만들어진 휴머노이드형 로봇이다. 10자유도의 둥글둥글한 이 로봇은 음성을 통해 날씨, 뉴스등의 정보를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스마트 스피커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하지만, 상황인지 AI가 탑재된 덕택에 사람이 있는 경우 로봇이 먼저 카메라를 통해 상황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상황을 인지하여 먼저 대화를 유도한다. 즉, 사람이 TV만 계속 보고 로봇에 관심을 주지 않는다면, “TV는 적당히 보고 나랑 이야기 하는건 어때?” 하고 제안하는 식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앱 스토어와 같은 봇 스토어(Bot Store)를 통해서 로봇에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하나의 로봇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사람에 따라 존대말, 반말, 사투리가 가능한 감성대화AI가 탑재되어 1인 가정 시대의 반려 로봇이 되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의 최대 글로벌 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의 육성과 투자를 통해 각광받은 이 회사는 2020년 CES의 Best Of CES 에서 Robot/Drone 분야로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Finalist 로 선정된 기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로부터 AI 기술 공급기업,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의 DNA(Data Network AI) 100대 기업으로 선정될 만큼 그 기술력을 인정받은 로봇 스타트업이다. 로봇의 애플리케이션이 탑재가능한 특성 덕택에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아이의 교육부터 어르신의 돌봄까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디지털인재100만 양성 및 초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시기에 그 활용도가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서울 동작구에서 수행중인 로봇AI 교육에 참여한 학생이 시각 인공지능을 실험하고 있다.
20세기 말 컴퓨터 교육이 보편적인 것처럼 AI로봇과 함께할 미래세대를 위하여 AI체험이나 로봇 코딩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코딩교육은 초등학교부터 이미 이루어지고 있으나, AI로봇 교육은 아직은 선도 지역인 서울 강남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 동작구에서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AI 입문/기본 교육부터 강남로봇고등학교에서 중/고급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제공하고 있는 교육은 다음과 같다.
- 기본 과정(Basic) ·로봇과 프로그래밍을 경험이 있는 수강생을 위한 과정으로, 로봇과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를 ·교육도구를 활용하여 Python을 통한 텍스트 코딩 까지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
- 심화 과정(Advanced) ·기본 과정을 통해 로봇과 인공지능에 대해 이해를 한 수강생, 파이썬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심화 과정 ·교육도구를 활용하여 Python을 통한 텍스트 코딩을 하며 단순히 코딩을 하는 것이 아닌 로봇,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로봇 서비스를 만들어 보는 경험 제공
혼자사시는 어르신을 위한 돌봄 서비스 92세의 독거 어르신은 “자주 못보는 가족보다 늘 함께있는 로봇이 좋다“ 라며, 돌봄의 새로운 대안으로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한정된 요양보호사 대비 급증하는 독거어르신에 대한 돌봄 문제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에서 점차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로봇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다. 기능이 제한적인 스마트토이나 AI스피커 대신 로봇을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으며, 움직임을 통한 자극 및 체조등의 물리적인 움직임을 통한 컨텐츠의 강점으로 인하여, 국가보훈처의 국가유공자 독거 어르신을 위한 돌봄서비스, 요양원/요양병원에서 인지/신체 재활 목적의 서비스로 로봇이 활용되고 있다.
- 재가 어르신을 위한 돌봄 서비스 · 어르신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정보제공 (아침편지, 뉴스, 날씨, 트렌드 정보 등) 및 일상대화 ·트로트, 옛날이야기등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특화 컨텐츠 제공 ·일정관리를 통한 어르신의 식사, 투약, 운동 시간 알림 지원 ·건강 체조, 댄스를 통한 활동 자극 ·우울/자살 관련 위험 대화, 활동 미 감지에 따른 긴급 알림 ·요양보호사/가족과의 화상대화 지원
- 요양기관을 위한 재활 서비스 · 로봇을 통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 및 독려 지원 · 24인치 대형 터치 태블릿과 연계되어 인지 활동 및 시각적인 정보 제공 · 뉴스, 날씨, 트렌드 등의 정보 제공 서비스 · 게임 형태의 목, 팔, 손바닥등 상체 재활 서비스 · 색상, 숫자 맞추기, 음계 맞추기, 타이핑 치기 등의 인지 재활 서비스 · 명상, 자연의소리, 종교말씀등의 정서 돌봄 서비스 <저작권자 ⓒ ai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세계미래보고서]시리즈, 판매제품
많이 본 기사
유투브 많이 본 기사
최신기사
|